맞벌이 부부를 위한 정부 지원 혜택이 2025년 더욱 확대되었습니다. 육아, 주거, 세금 감면, 금융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맞벌이 가정을 위한 정책이 운영되고 있으며, 이를 잘 활용하면 가계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 본 글에서는 맞벌이 부부가 받을 수 있는 필수 혜택을 정리하고, 신청 방법과 자격 요건을 자세히 안내합니다.
1. 맞벌이 부부를 위한 육아 지원 – 보육비, 유급 휴직 혜택
맞벌이 부부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육아 비용과 시간 확보입니다. 정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✅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
맞벌이 부부는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, 소득 기준에 따라 돌봄 비용의 일부를 정부에서 지원합니다.
- 지원 대상: 만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맞벌이 가정
- 지원 내용: 시간제 돌봄 서비스, 종일제 돌봄 서비스 제공
- 소득 기준에 따른 정부 지원 비율:
- 중위소득 75% 이하 가구: 최대 85% 지원
- 중위소득 120% 이하 가구: 최대 55% 지원
✅ 육아휴직 급여 확대
맞벌이 부부의 경우 부부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으며, 급여 혜택도 증가했습니다.
- 첫 3개월: 통상임금의 100% (최대 월 300만 원)
- 이후 기간: 통상임금의 50~80% 지급
- 맞돌봄 휴직제: 부부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두 번째 휴직자의 급여 증가
✅ 어린이집 및 유치원 비용 지원
- 만 0~2세 보육료: 소득과 관계없이 전액 지원
- 누리과정(만 3~5세) 교육비 지원: 월 28만 원 지원
2. 맞벌이 부부 주거 지원 – 전세, 매매 혜택
정부는 맞벌이 부부를 위한 주택 구입 및 전세자금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 특히 신혼부부 및 생애최초 주택 구매자를 위한 혜택이 강화되었습니다.
✅ 신혼부부 전세대출 및 대출 이자 지원
-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: 금리 1.2~2.1%, 최대 2억 원 대출
- 신혼부부 전세대출: 최대 2.2억 원까지 대출 가능 (수도권 기준)
- 이자 지원: 맞벌이 부부의 경우 최대 1.5% 추가 금리 인하 혜택
✅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특별공급
- 소득 기준 완화: 외벌이 140% → 맞벌이 160% 이하로 확대
- 지원 대상: 민영주택 및 공공분양 주택
✅ 청년 및 신혼부부 주택 특별 대출
- 신혼희망타운 대출: 신혼부부 전용 주택 공급 및 대출 금리 1.3~1.5% 적용
- 생애최초 LTV 80% 적용: 주택 구매 시 대출 한도 증가
3. 맞벌이 부부 세금 감면 및 금융 혜택
맞벌이 부부를 위한 세금 감면 및 금융 지원도 다양하게 제공됩니다.
✅ 근로소득세 공제 혜택
- 맞벌이 부부는 각각 세액 공제 가능
- 자녀 세액 공제: 첫째 15만 원, 둘째 30만 원, 셋째 이상 30만 원 추가 공제
- 연금저축, IRP 가입 시 추가 세액 공제 가능
✅ 신용카드·체크카드 소득공제
- 부부 각각 카드 사용 금액 기준으로 공제 가능
- 맞벌이 부부의 경우 카드 사용을 분리하여 각자 공제받는 것이 유리
✅ 금융 지원 – 육아휴직 급여 및 출산 지원금
- 육아휴직 중에도 국민연금 가입 유지 가능 (보험료 일부 지원)
- 첫째 아이 출산 시 출산지원금 최대 200만 원 지급
- 지역별로 추가 육아 지원금 제공 가능 (거주지 지자체 확인 필요)
결론 – 맞벌이 부부는 정부 지원을 적극 활용하세요
2025년 맞벌이 부부를 위한 정부 지원 혜택은 더욱 확대되었습니다. 육아, 주거, 세금 감면 등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꼭 해당되는 혜택을 확인하고 신청하세요.
- 육아 지원: 아이돌봄 서비스, 보육료 지원, 육아휴직 급여 증가
- 주거 지원: 전세 대출, 생애최초 특별공급, 신혼희망타운 대출
- 세금 감면: 자녀 세액 공제, 맞벌이 연금저축 세액 공제
맞벌이 부부라면 놓치지 말고 신청 가능한 혜택을 챙기세요! 더 자세한 정보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